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081.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 사용의 위험성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 사용의 위험성 오늘은 좀 무거운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여러분들께서는 뉴스 등을 통해 'OOO가 극단적 선택을 했다'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자살'이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뉘앙스를 없애고, 듣는 이에게 부담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선택'이라는 단어가 주는 위험성 저는 개인적으로 '극단적 선택'이라는 단어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마치 '자살'(저 역시도 이 단어가 부담스럽기에 '그것'이라는 말로 대체해서 글을 쓰겠습니다.)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선택지 중 한 가지라는 인상을 심어주기 때문입니다. 절대 '그것'은 선택지가 될 수 없습니다. '그것'은 그 어떤 것도 해결.. 더보기 080. 스트레스 대처법(stress coping) 스트레스 대처법(stress coping) 스트레스나 스트레서(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한 대처법(스트레스 코핑)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의 심리학자 리처드 라자루스(Richard Lazarus)의 이론을 토대로 한 네 가지의 대표적인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해결형 대처 스트레스나 스트레서 자체를 문제로 삼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가볍게 하는 방법입니다. 1. 문제를 명확히 한다. 2. 문제의 원인을 찾는다. 3. 복수의 해결책(선택지)을 내놓는다. 4. 해결책에 우선순위를 매긴다. 5. 해결책을 실행한다. 6. 5번에서 해소·경감되지 않은 경우, 다른 해결책을 실행한다. O 문제해결형 대처의 구체적인 예시 엄마의 시시콜콜한 잔소리로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 더보기 079. 신경성 폭식증이란? 신경성 폭식증이란? TV나 방송에서 음식과 관련된 프로그램이 인기입니다. 맛있게 먹고 인생을 즐기기를 권유합니다. 한편으로 날씬한 몸매에 대한 사회적 압박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실컷 먹고 싶지만, 먹으면 안 될 것 같은 딜레마 속에서 늘 초조한 마음으로 현대인들은 살아갑니다. 신경성 폭식증의 정의 사람이 식욕이나 배고픔을 느낄 때,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합니다. 신체적인 상태나 사회적이고 환경적인 변화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요. 특히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이러한 복합 작용에 영향을 주며, 일시적 식욕이나 포만감의 변화가 나타나지만 대개는 곧 회복됩니다. 마찬가지로 체중감소를 위한 한시적 식이 조절 역시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음식을 먹는 행위가 자연스러운 삶의 과정이 아닌.. 더보기 078. 다른 사람과 눈을 맞추지 못하는 시선 공포증 다른 사람과 눈을 맞추지 못하는 시선 공포증 눈을 맞추는 행위는 중요한 비언어적(non-verbal) 커뮤니케이션의 하나입니다. 타인과 눈을 잘 맞추지 못하는 사람은 그 원인을 스스로 알게 된다면 이를 극복할 수 있고, 보다 원활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시선공포증의 종류 시선을 두려워하는 심리는 자신감이 없다는 것의 반증이거나 대인 관계에서 발생하는 긴장, 불안에서 도망치고 싶다는 심리적 움직임 등을 원인으로 합니다. 시선공포증의 네 가지 타입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단, 통상적인 커뮤니케이션에서 시선을 맞추는 것은 길어도 2~3초 정도이므로 그 이상 시선을 맞추는 것은 좋아하는 감정이 담겼거나 반대로 상대방을 위협하는 상황정도이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타인시선 공포증 다른 사람.. 더보기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