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은퇴 후에 오는 대인관계 단절 등 사회적 관계 상실과 신체 능력 저하를 겪으며 우울감을 느끼는 노인이 많습니다.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고의적 자해, 자살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자녀들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의료계에 따르면 노년기에는 은퇴, 가까운 사람과의 사별, 자식과의 불화, 대인관계 단절, 빈곤 등 사회·경제적 요인이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우울감이 오면 입맛이 없어 밥도 먹기 싫고, 만사가 귀찮아집니다. 몸 이곳저곳이 아픈데 막상 병원에 가서 검사하면 아무런 이상이 없고, 집중력 감퇴와 함께 기억도 흐릿해지면서 치매가 아닌가 의심하기도 합니다.
또한 두통, 복통, 소화불량 등의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내과 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때로는 주위의 이목을 끌기 위해 꾀병을 부린다는 가족들의 오해를 사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마치 가면을 쓰고 있는 것처럼 우울함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가면성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전문의에 따르면 가면성 우울증은 스스로 우울하지 않다고 말할 뿐만 아니라 표정에서도 우울한 느낌을 파악하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러나 멀쩡한 겉모습과는 달리 식욕부진, 소화불량, 투통, 근육통, 불면증 등의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 가면성 우울증의 특징이라고 설명합니다.
다행히 노년기 우울증은 다른 질환에 비해 치료효과가 큽니다.
대개 우울증은 급성기 치료로 70~80%가 개선될 수 있습니다. 우울증 치료로는 약물 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이 효과적입니다. 약물의 부작용이 과거보다 많이 감소했기 때문에 가벼운 우울증부터 약물 치료를 권하는 추세입니다.
약물치료로는 항콜린성 부작용에 취약한 노인의 특성상 삼환계 항우울제보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많이 사용하고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억제제는 통증에도 효과가 있어 통증을 동반한 노인에게 처방됩니다.
항콜린성 부작용으로는 피부 건조, 발한 감소, 장 운동 감소, 빈맥, 부정맥, 고체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억제제는 항우울제로 많이 처방되는 약물입니다. 항우울제는 뇌에 작용해 세로토닌, 노르에프네프린,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해 우울증을 개선합니다.
간혹 환자 중에는 평생 약을 복용해야 할까 봐 우려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꾸준한 치료후에는 더 이상 약을 먹지 않아도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모든 질환과 마찬가지로 노년기 우울증도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생활과 균형 잡힌 식습관을 유지하고, 적절한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합니다.
'마음 토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2. 고립은둔청년 54만 명, 세상 나오도록 정부가 돕는다. (0) | 2023.12.13 |
---|---|
111. 20~30대의 불확실성과 가능성, 방황의 이유 (2) | 2023.12.11 |
108. 작은 일에도 힘든 이유 - 스몰 트라우마 (0) | 2023.07.31 |
107. 브랜드가 맛있다? - 블라인드 테이스팅 (Blind Tasting) (0) | 2023.07.28 |
106.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좋다 - 단순 노출 효과(Mere Exposure Effect)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