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한 감정표현과 주의를 끄는 행동 - 연극성 인격장애
연극성 인격장애는 과다한 감정 표현과 주의를 끄는 행동을 특징으로 합니다. 화려하고 극단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지만, 정작 무슨 감정인지, 무슨 말인지 상대방은 잘 이해하지 못하기도 합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또 반대되는 감정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과장되게 표현하고, 대부분의 것들에 대해 실제보다 더 중요한 것처럼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정의
변덕스러운 스타일과 허영심을 가진 일부는, 다른 인물들을 매혹시키는 것에 매우 능하며, ‘관심의 중심’이 되는 상황을 원합니다. 반대로 자신이 주목받지 못하거나, 인정받지 못하면, 분노폭발, 짜증, 눈물, 비난하는 말과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대인관계에서는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매달리고, 상대방과 떨어지는 것을 견디지 못할 정도로 불안해하기도 합니다. 다른 사람, 상황적인 문제 등이 둘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기도 합니다. 상대에게 원하는 끝없는 확신 때문에 상대방이 지치기도 합니다. 극단적으로는 자해, 자살의 제스처 등을 취해서라도 자신에게 관심을 돌리고 싶어 하고,, 성적 유혹을 통해서라도 상대방의 마음을 끌어당기고 싶어 하기도 합니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원인
뚜렷하게 밝혀진 원인은 없습니다. 정서적 표현이 강향 경향, 정서적 불안정성은 유전적 경향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또한, 연극성 인격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 알코올 사용 장애 간의 유전적 연관성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자신을 과장해서 표현해야 인정받는다는 생각, 타인이 원하는 대로 되려고 애쓰는 것이 자신의 진정한 성품이라는 생각 등이 어린 시절부터 지속되면서 연극성 인격장애까지 발전할 수 있습니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경과 및 예후
나이가 들면서 연극성 인격장애를 지닌 사람들은 더 적은 증상들을 보이게 됩니다. 그러나 이전에 비해 에너지가 줄어 생기는 현상인지, 호전인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종종 법적인 문제, 물질 남용, 문란한 행동과 같은 문제들에 얽힐 수 있습니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역학 및 통계
유병률
연극성 인격장애의 유병률은 일반인구의 약 2%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정신보건서비스를 받는 분들 중에 10-15%10-15% 정도가 연극성 인격장애에 해당된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성비
연극성 인격장애는 줄곧 여성들이 남성보다 더 많다고 연구되어 왔으며, 임상 현장에서도 여성이 더 자주 진단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성비에 큰 차이가 없다는 연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연극성 인격장애의 치료
약물치료
연극성 인격장애의 경우에도 인격문제를 치료하는 약물은 없으며, 인격장애 환자가 보이는 힘든 증상에 따라 다양한 약물치료가 가능합니다.
• 항우울제: 우울한 기분과, 신체적 증상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항불안제: 불안한 마음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인 감정 상황에서의 복용을 통해 마음을 가라앉혀 주기도 합니다.
• 기분조절제: 감정 기복을 완화시켜 줍니다.
• 항정신병약제: 감정 기복을 완화시켜 줍니다.
정신치료
흔히들 상담이라고 생각하는 치료입니다. 인격과 문제행동의 변화를 위한 중장기간의 정신치료가 가장 권장되는 치료입니다. 정신치료는 충분한 수련과정과 자격을 갖춘 전문가에게 받아야 좋은 치료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단기적으로는 극단적인 감정 기복을 안정시켜 주기도 하고, 문제 행동이 있다면 그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하기도 합니다. 장기적으로 치료를 받다 보면, 내가 왜 이렇게 힘든 지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감정에 대해 좀 더 명확히 알 수 있게 되어 현명한 대응과 행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출처 :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음 토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74. 몸의 어느 부위에나 생길 수 있는 증상 - 틱장애 (0) | 2023.02.28 |
---|---|
073. 정신과 진료 기록에 남나요? - 정신과 진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 (0) | 2023.02.27 |
071. 펜타닐(Fentanyl)이란 무엇인가? (2) | 2023.02.25 |
069. 아이가 공부를 너무 힘들어 해요 - 특정 학습장애 (0) | 2023.02.23 |
068. 저보고 꾀병이래요. 저는 정말 아픈데 - 신체증상장애 (0) | 2023.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