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이 되어 우울증이나 다른 정신과 질환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 중 어린 시절에 겪었던 커다란 사건의 트라우마가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어린 시절에 받는 충격은 성인이 되어 받은 충격에 비해 훨씬 오래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어른들은 이성적인 뇌가 발달했기 때문에 그 충격을 어느 정도 완충해서 조절하는 반면, 어린 아동은 이성적인 부분의 발달이 성인에 비해 덜 발달했기 때문에 그 충격을 완충하지 못하고 그대로 받습니다.
아동기 때의 이러한 부정적 경험은 대략 10가지 정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1) 신체적 학대
(2) 신체적 방임
(3) 정서적 학대
(4) 정서적 방임
(5) 성(性)적 학대
(6) 부모의 폭력
(7) 가족구성원의 약물복용
(8) 가족구성원의 정신질환
(9) 부모의 이혼 또는 별거
(10) 가족구성원의 체포 및 구속
이러한 것들 중 하나라도 경험한 아동은 평생 동안 본인이 겪은 것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게 되고 이는 성인으로 성장해가며 인격을 형성하는데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예를 들면 성인으로 성장해서도 특정 상황에서 과도한 반응을 보이거나, 또는 극도로 회피하는 등의 일반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떤 형태로든 그 삶에 문제로 작용할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 부모의 잘못된 모습(가정폭력, 알코올중독 등)을 보면서 그것을 원망하며 성장했지만, 성인이 된 후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기도 하는 등 어린 시절 겪었던 트라우마는 평생 한 아이의 마음속에 상처로 남아 그 인생을 망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것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어린 자녀를 키우시는 부모님들께서 이 글을 보신다면 혹시 나도 모르게 사랑스러운 내 아이에게 트라우마를 심어주고 있는 건 아닌지 한 번쯤 지나온 날을 돌이켜 보는 건 어떨까요?
잠시 동안의 잘못된 나의 행동이 사랑하는 내 아이의 미래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건강한 하루 보내시기 바랍니다.
'마음 토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5. 우울증과 불면증 (0) | 2022.12.31 |
---|---|
014. 우울증 환자의 가족으로 살아가기 (0) | 2022.12.30 |
011. 상담치료의 특징과 몇 가지 궁금증 (4) | 2022.12.28 |
010. 우울증 환자에게 해줘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 (0) | 2022.12.27 |
009. 우울증약 먹어도 괜찮을까요? (0) | 2022.12.26 |